본문 바로가기
728x90
320x100
SMALL
[JAVA/자바] 클래스생성,실행, 변수와 상수 클래스 생성하기 file-new-project를 생성한 후에 그 프로젝트를 누르고 마우스 오른쪽을 누른 후 new-class를 생성하면 된다. 참고로 나는 sts4버전이라 기존의 이클립스랑 다를 수 있음을 미리 고지한다. 누르게 되면 이런 창이 뜬다 여기서는 클래스명이 중요한데 보통 개발자들 사이에서는 클래스는 처음시작을 대문자로 쓰는게 관용이라고 한다. 그 외 중요한 사항은 대충 기재해 보았다. 나는 Class01 이라는 클래스를 생성하였고, 바로 실행하는 것을 보여주기 위해 메인클래스가 들어간 자바클래스를 생성하였다.(여기서 대소문자 구분은 필수임) 피니시를 누르면 이런 화면이 뜬다 보면 이클립스에서 프로젝트를 만들면 패키지는 처음에 디폴트값이라서 지정이 안될 수 도 있지만, 처음에 퍼블릭타입이 기본.. 2022. 7. 20.
[Python]변수와 quiz(2.2,2.3,2.4,2.5,2.6,2.7) 변수 미지수, 그릇이라고 생각하면 편합니다. 뭘넣느냐에 따라 성격이 달라집니다. 프로그래머가 쉽게 데이터를 엑세스할 수 있도록 특정 메모리에 이름을 붙인것입니다. c언어는 변수를 선언해줘야하지만 파이썬은 할당하는 순간 선언되는 효과가 있어서 선언을 안해도 됩니다. 오른쪽 값인 1인 C라는 변수에 대입해준다는 뜻으로 이해하시면 되며, 여기서 1과 c는 수학공식처럼 같다는 뜻이아니라, 그냥 1이라는 값을 c에 넣는다는 식으로 이해하시면 빠릅니다. 정수형변수 3을 a에 넣고, a를 호출하면 3이 불러와짐을 알 수 있습니다. 실수형변수 b에다가 10.1615161을 넣고 b를 호출하면 10.1615161이 불러와짐으르 알 수 있습니다./ Quiz2.2 위의 명령문을 실행하면 아무런 반응이 없다. 결과를 확인하기.. 2022. 5. 20.
[ C언어]변수(int, double, char,void)와 sizeof연산자 변수 값들이 저장되는 공간 변수를 사용하기 위해서는 반드시 미리 선언( declare) 번수 선언 변수 선언시 자료형 변수이름; 무조건 엔터로 넘기는 게 아니라 컴퓨터는 ; 만이 다음줄로 넘어가는 것을 의미한다. 주석은 // 로 처리한다 주석은 아무리 많아도 무거워지지않음 주석에는 버전(변경사항등을 기록함) 프로그램결과엔 영향을 미치지 않지만, 코드를 설명하는 역할 파란색 글씨고 자료형 = 데이터타입 정수형 int ==> short, int, long, longlong이 있음 부동소수점형 ==>실수형 double, float, long double 1.24 * 10^24승이런걸 말함 ==는 등호 증감 ++, -- 관계연산자 != 같지않다 >= , X+Y X-= Y => X=X-Y X*=Y => X=X*Y.. 2022. 5. 18.
[Python]변수의 이해(데이터확인) 변수 = 그릇, 미지수...(데이터 저장할 수 있는 메모리공간) 데이터형 = 컴퓨터에서 다뤄지는 다양한 데이터값유형 뭘넣느냐에 따라 성격이 달라짐 C라는 그릇안에 1이라는 인티저형 변수를 넣어준다는 것임 = 오른쪽 값이 왼쪽에 대입되는 거임 a안에 7이 들어있어서 a를 부르면 7이 불러와짐 다만 이거는 print문이 아닌 a라는 메모리에 7이 있다는것만을 의미함 형선언이 따로없고 그냥 넣어주기만 하면된다 quiz2.2 위의 명령문을 실행하면 아무런 반응이 없다. 결과를 확인하기 위해 필요한 명령문을 밑줄에 적으시오 명령문 = print(num) 결과 3.5 문자형은 '',""로 구분 user = 'hi' user >>hi 데이터형 확인 type(변수명) 2022. 5. 18.
728x90
반응형
BIG